토큰(Token)과 경제학(Economics)의 합성어인 토크노믹스(Tokenomics)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자산으로 취급되는 토큰의 설계구조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토큰을 통해...
더 보기
토큰(Token)과 경제학(Economics)의 합성어인 토크노믹스(Tokenomics)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자산으로 취급되는 토큰의 설계구조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토큰을 통해...
더 보기
토큰(Token)과 경제학(Economics)의 합성어인 토크노믹스(Tokenomics)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자산으로 취급되는 토큰의 설계구조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토큰을 통해 프로토콜 참여자들의 특정 행동을 유발하고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2021년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 등의 웹3 게임 프로젝트의 등장과 성장, 그리고 토큰 가격의 급등락으로 인해 블록체인 게임의 ‘지속가능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게이밍 토크노믹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게이밍 토크노믹스에 대해서 논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으며, 이는 다른 섹터에서 토크노믹스의 전개 양상과 비교하는 것을 통해 그 난이도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탈중앙 금융, 즉 디파이 영역에서 토큰 홀더들은 단일 금융 서비스에 ‘투자자’로 참여하는 반면, 블록체인 게임의 경우 토큰 홀더들의 성격이 ‘투자자’와 ‘플레이어’로 분화됩니다. 이에 따라, 게임 생태계 안에서 다양한 참여자들이 수행 가능한 활동들을 정의하고 토큰을 통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는 일은 복잡성이 훨씬 증대되는 것이죠.
웹2 게임과도 비교해 볼 수 있는데, 블록체인이 아닌 기존 인게임 환경에서 화폐 등의 인게임 자산이 폐쇄적으로 다루어졌던 것과는 달리, 개방성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의 특성상 토크노믹스 설계 시 토큰을 매개로 인게임 자산이 현실과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가능성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는 토큰의 활용 양상을 쉬이 예측할 수 없게 만들어 토크노믹스 설계 시 장애지점으로 작용합니다.
이하에서는 게이밍 토크노믹스 논의에 있어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개념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블록체인 게임에서 사용되는 토큰의 역할은 그 쓰임에 따라 거버넌스 토큰, 인게임 토큰, NFT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거버넌스 토큰은 주로 인게임 환경 밖에서 투자자들과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토큰 자산으로 자금 조달 및 기여에 대한 보상, 유동성 제공에 대한 인센티브, 거버넌스 참여 권한 분배 등의 역할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의 AXS 토큰, 더 샌드박스(The Sandbox)의 SAND 토큰 등이 이에 해당하며, 한정된 총발행량을 가지고 사전에 정해진 베스팅 스케줄에 따라 이해관계인들에게 분배됩니다.
인게임 토큰은 인게임 환경 안에서 플레이어들과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토큰 자산을 말합니다. 주로 게임 내에서 법정 화폐와 같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게임 아이템 및 그러한 역할을 하는 NFT의 거래를 촉진하거나 플레이어의 활동에 대한 보상 역할을 수행합니다. 거래 촉진 등의 유틸리티성이 존재 목적이기에, 플레이어 수와 활동량 증가에 따라 토큰의 공급량이 증가하는 설계 방식이 자주 차용되며, 대표적으로 엑시 인피니티의 SLP 토큰, 스테픈(Stepn)의 GST 토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디지털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명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인게임 상의 캐릭터, 랜드, 스킨, 장비 아이템 등의 인게임 자산들을 블록체인 게임 상에서 표현합니다. 서로 다른 NFT를 결합하여 새로운 NFT를 탄생시키는 행위인 브리딩(Breeding), 인게임 상 재료 아이템을 조합하여 NFT가 가진 능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등의 활용사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더 샌드박스의 랜드 NFT, 엑시 인피니티의 엑시(Axie) NFT 등의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게임은 주로 P2E(Play-to-Earn)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상기한 SLP 토큰(엑시 인피니티)이나 GST 토큰(스테픈)과 같이 무제한의 발행량을 가진 인게임 토큰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토큰들이 인게임 상에서 사용자의 활동량에 비례하여 충분히 소각되지 않았고 토큰 공급량의 급증 및 가격의 폭락, 그리고 연쇄적인 플레이어의 이탈로 이어졌습니다. 아래 차트는 대표적인 예시인 SLP 토큰의 발행량 및 소각량 추이이며, 일일 소각량에 비해 너무 많은 일일 발행량이 공급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SLP 토큰 발행량 및 소각량 추이 출처: Nansen
이후에 게이밍 토크노믹스 설계 논의 방향은 **‘토큰이 어떻게 발생하고 소각되는가’**에 대한 발생과 소각(Faucet and Sink) 메커니즘에 대한 강조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블록체인 게임의 등장 이후 새롭게 나타난 개념이 아니며, MMORPG 장르 등의 기존 게임에서도 인게임 자산의 공급량 증가로 인한 가치 하락을 뜻하는 ‘머드플레이션(MUDflation)’ 현상의 발생을 막기 위해 인게임 자산이 인게임 경제 시스템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발생하고 사라질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발생과 소각 메커니즘의 구성요소에 대해 Page One의 기고자인 Boffin은 자신의 글에서 Faucet, Inventory, Converter, Sink, Trader 다섯 가지를 제시하며, 각 요소의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테픈을 예시로 위 요소들을 적용하여 게이밍 토크노믹스 흐름을 나타내본다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스테픈 성장기 및 쇠퇴기에서의 GST 토크노믹스 작용 양상 예시; 출처: 디스프레드 리서치
게이밍 토크노믹스는 크게 ‘인게임 경제’ 영역과 ‘비즈니스’ 영역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전자는 인게임 토큰을 통해 게임 플레이어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후자는 거버넌스 토큰을 통해 프로젝트, 재단, 투자자등 프로젝트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웹3 게임 프레임워크 예시; 출처: 디스프레드 리서치
게이밍 토크노믹스 유형은 각 영역에서 작용하는 토큰, 혹은 FT(Fungible Token)가 분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싱글 토큰 이코노미(Single Token Economy)와 듀얼 토큰 이코노미(Dual Token Economy)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자에서는 한 종류의 FT가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하며, 후자에서는 각 영역에서 독립적인 토큰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싱글 토큰 이코노미를 채택한 대표적인 사례로 나인크로니클(Nine Chronicles)을 들 수 있습니다. 나인 크로니클은 서버가 없는 오픈 소스 온라인 RPG로 NCG(이더리움 체인 상에서 WNCG로 존재)라는 단일 토큰을 중심으로 게임 경제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플레이어는 NCG를 구매하고 인게임 상에서 활용하여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데에 활용하는 한편, 프로젝트 측은 NCG 세일을 통해 운영 자금을 확보하거나 마이닝 프로그램 실행 보상으로 활용하는 등 단일 토큰에 대한 복합적인 활용 양상을 보여줍니다.
듀얼 토큰 이코노미를 채택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엑시 인피니티를 들 수 있습니다. 스카이 마비스(Sky Mavis)에서 개발한 수집형 모바일 게임인 엑시 인피니티는 인게임 토큰인 SLP와 거버넌스 토큰인 AXS를 중심으로 게임 경제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SLP는 플레이어 대전 보상 및 엑시(Axie) NFT 브리딩 재료로 사용되어 인게임 상에서 발생하고 소모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한편, AXS는 주로 프로젝트의 운영 자금 확보 방안으로 활용되거나 스테이킹 보상 및 생태계 펀드 운영 자금으로 활용되는 등의 양상을 보여줍니다.
P2E 메커니즘에서 탈피하여 ‘지속가능한’ 게이밍 토크노믹스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어떠한 프로젝트도 이러한 문제점을 명쾌하게 풀어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웹3 게임은 웹2 게임 환경과는 다르게 인게임 경제를 구성하는 중심 자산인 토큰이 외부와 긴밀하게 연결되는 개방 경제 환경에서 다뤄진다는 특징이 있으나, 본질적으로 웹2 게임의 인게임 화폐와 같이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 게임 중 오랜 기간 게임 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온 선도사례를 통해 토크노믹스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브 온라인(Eve Online)은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MMORPG 게임으로, 2003년에 서비스를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인게임 경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해 온 선도사례로 꼽을 수 있습니다. 이브 온라인의 경제는 인게임 화폐인 ISK를 중심으로 구축되며, 2003년 서비스 이후 인게임 경제 상에 존재하는 ISK 총공급량은 약 8배밖에 증가하지 않아 건전한 수준의 가상 경제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높은 수준의 지속가능성을 보이는 이브 온라인의 경제 시스템 분석은 지속가능한 게이밍 토크노믹스, 특히 발생과 소각 메커니즘 설계에 해결책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디스프레드 리서치에서 나타난 이브 온라인 경제의 특징을 인용하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출처: 디스프레드 리서치
DeSpread — Website | Twitter | DeSpread Research | Portfolio Hub
디스프레드는 건전한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2019년 창립된 웹3 및 블록체인 전문 컨설팅 기업입니다. 디스프레드는 대중에게 양질의 소통과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크립토 생태계를 안착시키고자 하는 사명을 갖고 있습니다.
Writer: Do Dive, Head of Research at DeSpread
#Gaming #Tokenomics #Eveonline #DeSpread